게임 산업 트렌드 및 동향 60

동남아 게임 시장 진출 위한, 전략적 거점 태국 (엔씨, 카카오게임즈)

‘K-게임 성공방정식’…엔씨·카카오게임즈가 주목한 태국 시장엔씨소프트(엔씨)와 카카오게임즈(카겜)가 급성장 중인 태국 게임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내고 있다. 동남아시아 게임 시장의 중심지로 떠오른 태국은 수익성과 성장성을 모두 갖춘 `핫플레..www.ekn.kr [요약] 엔씨소프트와 카카오게임즈가 태국을 전략적 거점으로 삼아 MMORPG의 글로벌 론칭을 준비 중 → 성장성과 소비력이 높은 태국 게임 시장을 선점하려는 전략→ 태국의 동남아 내 최대 소비력과, 높은 RPG 장르 선호도→ 국내 게임사들의 해외 실적 반등의 돌파구로 주목받는 중[시사점] 1. 유저 경험 기반의 ‘현지화 전략’은 이제 필수다→ 이벤트, 콘텐츠 적응도, 문화 이해도까지 고려해야 성공 가능성이 높음 2. 태국은 동남아시아 내 모바일 ..

게임업계 R&D 양극화

게임업계, 'R&D' 양극화 뚜렷···사업 전략 키워드는? [The SIGNAL] - 한스경제[한스경제=이지영 기자] 국내 주요 게임사들의 불황이 장기화되자 본업 경쟁력 강화에 나섰다. 특히 국내 주요 게임사들의 \'지적재산권(IP) 확장\', \'신작을 통한 글로벌 진출\' 등 올해의 사업www.hansbiz.co.kr [요약] 1. 국내 주요 게임사들이 불황 타개를 위해R&D 투자 확대와 글로벌 시장 진출에 집중하고 있음 → 크래프톤, 엔씨소프트, 카카오게임즈, 넥슨게임즈 등 높은 비중으로 R&D에 투자하며 신작 개발과 AI 등 신기술에 주력→ 반면 컴투스, 위메이드, 웹젠 등은 비용 절감 및 수익성 확보에 초점 R&D에는 비교적 소극적 2. AI 활용, 글로벌 IP, 플랫폼 다변화, ..

2025년 모바일 게임 현황 - 센서타워

센서타워Sensor Tower 모바일 게임 수익 전년 대비 8 증가한 820억달러 캐주얼 게임이 가장 큰 성장세모바일 게임 시장 수익 8 증가한 820억 달러 기록 센서타워의 2025년 모바일 게임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모바일 게임 시장은 전년 대비 8 증가한 820억 달러의 수익을 올렸다 다운로드 수는 감bbs.ruliweb.com 2025년 모바일 게임 현황 | 업계를 선도하는 리포트업계를 선도하는 리포트인 2025년 모바일 게임 현황에서는 지난 한 해를 정의한 시장 트렌드를 살펴보고, 다운로드, 매출, 사용 시간 등의 주요 지표를 살펴봅니다. 가장 큰 성장을 이끈 수익화sensortower.com [리포트 요약]모바일 게임 다운로드는 감소, 그러나 인앱 구매 수익은 사상 최고치 경신 (8..

게임업계의 신흥시장 동남아

"이번엔 동남아 간다"…블루오션 눈독 들이는 K게임"이번엔 동남아 간다"…블루오션 눈독 들이는 K게임, 엔씨, 리니지2M 동남아 6개국 출시 카겜, 태국서 글로벌 출시 쇼케이스 동남아, 통신 설비·모바일 보급률 ↑www.hankyung.com [요약] 1. 게임업계의 신흥 블루오션으로 부상하는 동남아시아- 게임 수용력과 결제 저항감이 낮은 시장 환경의 조성- 통신 인프라 개선(4G~5G), 높은 모바일 보급률, P2E 게임의 확산- K-콘텐츠에 대한 호감, 젊은 인구 중심의 소비층도 동남아 진출의 긍정 요인 2. 태국을 중심으로 한 동남아 진출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엔씨, 카겜- 엔씨소프트: VNG와 합작법인을 세우고 '리니지2M'을 6개국 통합 서버로 론칭 예정- 카카오게임즈: '오딘' 쇼케이스를 태국..

중견 게임사들의 반등 전략

"고도화 vs 다각화"...중견 게임사들, 서로 다른 반등 전략지난해 실적 부진에서 벗어난 중견 게임사들이 올해 반등 기회를 모색하고 있다. 개별 IP(지식재산권)를 고도화하거나, 퍼블리싱 판권을 확보해 보다 많은 게임이 타석에 올라가도록 하는 등 각www.dailian.co.kr [요약] 1. 중견 게임사들이 2023년 실적 부진을 극복하고 2024년 반등을 노리는 전략을 펼치고 있음 2. 전략: ①자체 IP 고도화, ②퍼블리싱 다양화, ③신작 출시 확대- 데브시스터즈는 쿠키런 IP 기반 글로벌 확장- 위메이드는 MMORPG 장르 고도화 및 자회사 신작 발굴- 네오위즈는 P의 거짓 IP 중심 확장- 컴투스는 신작 다변화와 퍼블리싱 전략 강화 3. 퍼블리싱을 통해 중소·인디 개발사의 게임도 ..

[인터뷰] 한국 콘솔 게임의 가능성 - 'P의 거짓'

의 성공은 국내 게임사가 콘솔 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해장르에 대한 깊은 이해, 탁월한 내러티브, 고퀄리티 개발력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P의 거짓' 개발사가 생각하는 '콘솔게임 만들 때 가장 중요한 것'해외 미디어가 가장 많이 물어보는 '이것'www.thisisgame.com [요약]  의 성공 배경- 고퀄리티 내러티브 중심 콘솔 게임에 도전한 결과- 기존 모바일/라이브게임 중심의 한국 게임 산업 구조에서 벗어나   프리미엄 게임 시장을 개척 도전 이유와 개발 전환 과정- 라이브게임은 수익이 크지만 진입 장벽이 높음- 콘솔은 ‘기회가 순환’되는 시장이라 판단하고 진입- MMORPG 중심의 개발 관성과 콘솔 중심의 조직 문화 간 간극 극복 중 개발 프로세스와 학습- 개발팀은 ‘완성도’에 대한 감각과 기준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