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 산업 트렌드 및 동향 65

게임 개발자 컨퍼런스(GDC) 설문조사 - 글로벌 게임 개발 트렌드

*영미권 게임업계의 시선을 반영 33%의 개발자들이 라이브게임 개발 중GDC 설문조사 결과 발표www.thisisgame.com [요약] - 1/3의 개발자가 라이브서비스 게임 개발에 참여 중- 36%의 개발자가 생성형 AI 도구를 활용 중- AAA 개발자 1/3은 게임 IP의 영상화 경험 보유- 프리미엄 모델(57%)이 가장 선호되는 비즈니스 모델- 라이브 게임의 성공 요인은 CCU, DAU, 유료유저 비율 등 지표 기반 성과 측정- PC게임 개발 비중 증가(66% → 80%)로 PC 중심 크로스플랫폼 트렌드 강화

타이베이 게임쇼 2025, 국내 업계의 중화권 진출 공략

중화권 공략 교두보 마련...K-게임 '타이베이 게임쇼' 출격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디지털투데이 이호정 기자] 국내 게임업계가 대만 최대 게임 전시회인 \'타이베이 게임쇼 2025\' 에 출격한다. 게임업계는 대만을 중화권 진출 전초기지로 보고 있는데, 이번 전시회 참가를 통해www.digitaltoday.co.kr  타이베이 게임쇼 개막 일주일 전! 4일간 350개 이상의 인기 타이틀 선보여[자료제공:Taipei Computer Association / TGS Press Center] 타이베이 게임쇼 2025(TGS)가 1월 23일부터 26일까지 타이베이 난강 전시센터 홀 1의 4층과 5층에서 개최된다. 30개국 및 지역에서 346개 업체가 참가하www.thisisgame.com

[25년] 1월 3~4주 동향 및 이슈/ +게임 순위 분석, 정책

[온라인 게임 순위 분석 - 1/13~1/19] 멈추지 않는 질주!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2주 연속 상승세- 지난주 '25 TOTY(Team of the Year, 이하 TOTY)' 클래스를 업데이트한 'FC 온라인'이 전주 대비 1계단 상승하면서 4위에 올랐습니다. '25 TOTY' 클래스는 한 해 동안 최고의 활약을 펼친 축구 선수 84명 중 유www.inven.co.kr  [주요 동향 및 이슈] 게임도 숏폼이 대세인가…'궁수의 전설2' 韓 매출이 최고[서울=뉴시스] 오동현 기자 = 최근 한국 모바일 게임 시장에서 손 쉬운 조작법으로 짧은 시간 내 즐길 수 있는 게임이 인기를 끌고 있다. 이른바 숏폼 콘텐츠가 영상뿐 아니라, 게임에서도 대세로www.newsis.com [中 한국시장 대공습 ③게임]..

스마일게이트의 도약 +게임업계 4분기 실적 및 전망

요약) 3N이 불리는 엔씨, 넷마블 실적을 뛰어넘는 스마일게이트의 영업이익- 핵심 동력: 지난해 7월 출시 MMORPG 신작 - 탄탄한 게임성과 지속적인 업데이트가 유저들에게 높은 만족감을 준 사례- 기존 IP(지식재산)인 , 도 실적 개선 크게 기여 2025년 전략: 기존 IP와 신작의 조화 -> 안정성, 성장성 동시 강화- 산하 개발사 '슈퍼크리에이티브'가 개발중인 ’카오스 제로 나이트메어‘ 모바일 RPG 기대작- 글로벌 시장 확장 전략을 통한 매출 다변화  스마일게이트의 도약…게임업계, 'NKS' 3강 체제로 재편 - 아시아경제국내 게임업계가 ‘NKS(넥슨·크래프톤·스마일게이트) 3강 체제로 재편될 가능성이 커졌다. 비상장사 스마일게이트의 지난해 실적이 전년 대비 크게 늘어나면서 ...www.asi..

글로벌 시장의 관심 장르 '머지' (+팍시 게임즈 인수한 더블유게임즈)

요약) [글로벌 시장에서 주목받는 머지 장르]- 핵심 유저로는 20에서 40대의 여성 유저- 지난 2024년까지 3년 연속 전년대비 100% 이상의 성장률- 머지2 장르, 캐주얼 퍼즐 시장에서 두번째로 큰 시장(첫번째는 매치3 장르) [더블유게임즈, 팍시 게임즈 인수]머지 게임의 인기 요인으로- 중독성 있는 게임플레이- 스토리 중심의 게임방식- 높은 유저 리텐션 등이라고 분석 연간 1천억원 이상의 매출/ 머지 시장 매력도 입증- 머지 스튜디오(팍시 게임즈의 대표 게임) 이외에도 - 머지 맨션, 드래곤캠프(Merge Dragons!) 같은 인기 머지 게임들 이러한 주요 게임들은 글로벌 게임사 슈퍼셀로부터 투자 받은 이력 있는메타코어, 문액티브의 자회사인 마그마틱게임즈 등이 개발 및 서비스 중-> 글로벌 주..

2024 해외 시장의 한국게임 이용자 조사

요약) - 한국 콘텐츠 진흥원 발간- 튀르키예, 아랍에미리트(UAE), 태국을 포함한 총 19개국- 만 15세 이상 게임 이용자 9,700명을 대상- 한국 게임의 이용 실태 및 행태 종합적으로 분석  [K-게임 조사]- 평균 이용 시간 증가: 브라질, 인도, 튀르키예 강세- 지출 금액: 중국, 아랍에미리트, 호주 상대적으로 높음                   글로벌 신흥 시장으로서 중동의 잠재력- 선호 장르: 대부분의 국가 ‘배틀그라운드’, 플랫폼을 통틀어 가장 선호                   일본은 모바일게임 분야에서 더욱 선호   해외 인기 K-게임은? '2024 해외 시장의 한국게임 이용자 조사' 발간여전히 대세 차지한 배틀그라운드와 배틀로얄 게임www.thisisgame.com "한국 게..

[CES 2025] 게임 특화 AI 기술 CPC, 엔비디아 X 크래프톤 (+위메이드)

요약) - AI는 게임 내 현실감을 높이고 플레이어의 몰입도 극대화하는 필수 기술로 자리매김 중- 국내 게임사들은 엔비디아의 기술을 활용, 개발 과정 효율성 높이고 있음- 캐릭터 행동/ 물리 효과/ 매칭 알고리즘 등을 개선 - 국내 게임사 AI에 적극 투자 중- AI 기술을통해 게임의 차별화 시도 및 경쟁력 강화하기 위한 전략 - 정부 역시 국내 게임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AI 활용 게임을 집중적으로 지원하겠다는 공식 입장  [엔비디아 X 크래프톤, 새로운 AI 캐릭터 CPC 공개]플레이어언노운 배틀그라운드(PUBG) 개발사 크래프톤, 엔비디아협력해 만든 게임 특화 AI 혁신 기술 CPC CES 2025에서 최초 공개  *CPC: 새로운 개념의 게임 특화 AI 캐릭터- 기존 NPC(비플레이어..

[25년] 1월 1~2주 동향 및 이슈

[AI 기술]- 2025년 역시, 모든 산업군에서 AI 기술이 가장 큰 이슈 및 트렌드- 정부에서도 AI 기술을 활용한 게임을 지원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만큼   올해 게임 업계에서도 AI가 경쟁력의 핵심 기술이 될 것이라는 전망 [신년기획] 2025년 게임 업계 전망 ① - 성큼 다가온 AI 시대AI 없는 업계는 상상할 수 없는 상황www.thisisgame.com  [서브컬처]- 2024년은, 시프트업의 '니케(승리의 여신: 니케)' 흥행 성과를 바탕으로서브컬처 시장에서의 국내 게임업계 경쟁력이 주목 받는 한 해- 점점 과포화되는 서브컬처 시장임에도 불구, 2025년에도 각자의 경쟁력 갖춘 작품들 꾸준히 출시 예정  [신년기획] 과포화되는 서브컬처 시장, BM도 변해간다?캐릭터 뽑기 위주에서 성장 재화..

2025년 국산 게임 기대작

2025년을 책임질 국산 기대작 '10선'"올해에는 어떤 국산 게임들이 세계를 놀라게 할까?" 올해도 대작으로 가득한 한 해였다. 철권8, 페르소나3 리로드, 헬다이버즈2, 파판7 리버스 등이 연초를 뜨겁게 달군 데 이어 엘든 링: 황금 나www.inven.co.kr  [게임결산] ⑥ 2025년 글로벌 공습할 한국게임사 기대작게임업계에게 2024년은 '고난의 행군'이었다. 세계적인 경기 불확실과 대폭 상승한 개발비, 작아진 성공 가능성으로 주가가 요동쳤다. 글로벌 도전작의 잇단 성공을 거둔 업체도 있었고 시프트업www.globale.co.kr

[2024 결산] 국내 게임 업계 및 산업 결산 - 아티클 모음

매출 및 성과 결산 [게임결산] ① '고난의 행군' 상장사들, 어떤 한 해 보냈나게임업계에게 2024년은 '고난의 행군'이었다. 세계적인 경기 불확실과 대폭 상승한 개발비, 작아진 성공 가능성으로 주가가 요동쳤다. 글로벌 도전작의 잇단 성공을 거둔 업체도 있었고 시프트업www.globale.co.kr  [2024 결산-게임] 게임업계, 수익성 개선됐지만…‘신작·체질개선’ 희비 교차 - 한국금융경제신한국금융경제신문=진성우 기자 | 올해 국내 게임산업은 수익성 개선에 방점을 찍었다. 다만, 모든 기업의 실적이 개선된 것은 아니다. 신작 출시가 지연돼 위기를 맞은 기업은 경영진 변화, 고강www.kfenews.co.kr  국내 2024년 한해 이슈 [게임결산] ② 2024년 게임산업 10대 사건게임업계에게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