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 이쁜(?) 게임, 마케팅으로 극복하기 - 발라트로
인디 게임 '발라트로'는 독특한 게임성으로 '더 게임 어워드' 3관왕, GDC 2025에서 4관왕을 차지했다. 플레이스택 바우트 판할데렌은 GDC 강연에서 '주목의 수레바퀴' 마케팅 비결을 공개했다. 그는
www.inven.co.kr
[요약]
인디 게임 <발라트로>의 마케팅 전략
1. 게임 특징
- 포커 룰 기반에 로그라이크 결합한 인디 카드 게임
- 1인 개발
- 비주얼 매력 낮지만, 핵심 재미 강력
2. 마케팅 키워드: 주목의 수레바퀴
- 미디어, 인플루언서, 커뮤니티의 선순환 구조
3. 전략 요점
- 시각적 매력 ↓ → 데모 체험으로 전환 유도
- 스트리밍에 적합한 재미 요소 강조
- 커뮤니티 조기 구축 → 자발적 홍보 유도
- 마이크로 타겟팅 인플루언서 전략
- 플레이 반응을 그대로 콘텐츠화 (영상/트레일러 활용)
4. 대표 실행 예시
- 데모 배포 중심 전략 (3단계)
- 스트리머 토너먼트 운영 (비용 無, 키 지급 및 영상 활용)
- 논란조차 화제화
- 이후 모바일, 실물 패키지, 컬래보 등으로 관심 유지
[시사점]
1. 비주얼 약점도 전략화
: 비주얼 약점 대신, 게임성 강점 극대화 하는 방향
→ 체험 기반의 마케팅을 설계
✅ 마케팅 관점
- 마케팅의 시작은 단점 보완 X, 무엇을 보여주면 사람들이 반응할까 O
- 시각보다 플레이 후 반응에 집중한 콘텐츠 전략으로 전환
2. '커뮤니티, 인플루언서, 미디어'의 선순환 구조 (주목의 수레바퀴)
✅ 마케팅 관점
- 특정 채널에만 의존X, 여러 채널 연결되도록 시드(seed) 심는 전략
- 커뮤니티는 출시 후가 아니라, 출시 전부터 운영해야 진짜 자산이 된다
3. 팬 경험 → 마케팅 자산으로 활용
: 스트리머 대회, 실제 플레이 장면 → 상점 페이지 콘텐츠로 활용
✅ 마케팅 관점
- 스트리머를 단순 광고 도구로 쓰지 않고, 팬 경험을 마케팅 자산으로 확장
- 플레이어 반응은 곧 사회적 증거(소셜 프루프)
'마케팅 스터디 > 마케팅 사례 & 레퍼런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리와 연상이 만드는 마케팅의 힘 - 브랜드 네이밍 사례 (0) | 2025.03.27 |
---|---|
가정의 달 이벤트 사례 (0) | 2025.03.26 |
SNS 이벤트 사례 (0) | 2025.03.18 |
레퍼런스 활용 - 의인화, what if, 감동 코드, 엉뚱한 조합 (1) | 2025.03.15 |
가짜 게임 광고 저격하는 게임 만든 KFC (0) | 2025.03.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