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은 유저의 상호작용 기반 콘텐츠
--> 장르 구분: 유저에게 요구하는 행동이 무엇인지 파악(보편적 기준)
전통적인 게임의 장르는
'RPG, 어드벤처, 퍼즐, 시뮬레이션' 이 있음
어떤 행동 요구?
-액션: 신속한 의사 결정을 통한 캐릭터 행동 실시간 조작
(ex. 슈퍼 마리오, 철권 등)
- RPG: 게임 등장인물이 되어 이야기 진행(전투 중심)
(ex. 리니지 시리즈,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등)
- 어드벤처: 이야기를 만들어가거나, 따라가는 행동(문제 해결 중심)
(ex. 역전 재판 시리즈, 원숭이 섬의 비밀 등)
- 퍼즐: 정해진 규칙, 논리적 사고, 문제 해결
(ex. 테트리스, 지뢰찾기 등)
- 시뮬레이션: 다양한 일 재현 및 체험을 통해 문제 해결(사실성, 선택 과정 중요)
(ex. 문명 시리즈, 스타크래프트, 심시티 등)
But!
(요구하는 행동 외에도)
소재, 진행 방식, 게임의 볼륨 등 다양한 기준으로 장르 구분 가능
ex. 공포, 플랫폼, 캐주얼, 아케이드 등
'장르'는 시대에 따라 지속적으로 변화한다는 점
(특히 게임은 기술의 발전에 따른 영향을 크게 받는 콘텐츠)
신규 장르 탄생하거나, 장르 정의의 변화가 생기거나, 기존 장르 혼합되는 등
어떤 게임을 한 장르로 일대일 정의가 가능한 것이 아님
--> 시대에 따른 장르 변화의 흐름에 맞춰, 유연적인 사고가 중요
'게임 스터디 > 게임 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G 20] "게임은 생산성 없는 유희에 불과한 걸까요?" -인사이트 정리 필요 (0) | 2025.03.14 |
---|---|
게임 산업의 주요 변화 흐름 (2000~2024) (0) | 2025.03.14 |
게임의 본질적 가치 '즐거움' (0) | 2025.02.28 |
서브컬처 게임 분석하면서 (0) | 2025.02.20 |
레이드, 파티 플레이 (0) | 2025.0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