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 산업 트렌드 및 동향/2025

유니티 보고서 - 2025년 게임업계 핵심 키워드

항해하는 다이버 2025. 3. 20. 17:09

 

 

유니티 보고서: 2025년 게임 산업, '안정적 성장'이 핵심 키워드 - 토큰포스트

유니티가 최근 발표한 연례 보고서에 따르면, 게임 업계는 불확실한 시장 환경 속에서도 제한된 자원으로 최대한의 성과를 내기 위해 다양한 전략을 모색하고 있다. 지난 몇 년간 게임 업계는

www.tokenpost.kr

 

[요약]

 

2024~2025 게임 산업 흐름 (Unity 보고서 기준)

 

1. 산업 배경

- 대규모 해고, 프로젝트 취소, 스튜디오 폐쇄 등 불안정한 시장 환경

- 그럼에도 30억 명의 유저 / 1,840억 달러 매출로 여전히 거대한 산업

 

2. 산업 전략 키워드: 효율, 안정, 검증

- 60%+ 개발자가 "리소스 최적화"가 핵심이라 응답

- AI, 자동화, 효율적 툴 적극 도입

- 개발 시간 단축 + 유지보수 용이한 워크플로 선호

 

3.멀티 플레이 + 커뮤니티 중심 강화

- 64%가 멀티/협동 플레이 게임 개발 중

- 지속적 상호작용과 커뮤니티 형성이 중요한 성공 요인으로 부상

 

4. 플랫폼 전략

- 모바일 90%, PC 80%로 여전히 강세

- 웹/소셜 게임도 차세대 플랫폼으로 주목

- 콘솔은 대형 스튜디오 중심 선호

 

5. AI 도입 현황

- 96%가 AI 툴 도입 중

- 하지만 R&D 시간, 일정 관리 이슈로 완전한 구조 혁신은 아직

 

6. 게임 규모 확대

- Unity 평균 게임 크기 2년간 67% 증가

- 오픈월드/샌드박스 등 몰입형 대작 게임 증가 추세

 

7. 향후 전망

- 실시간 라이브 서비스 모델 확대 전망 (42%)

- 소규모 팀/인디 스튜디오 성장 가능성

- 시장은 축소보다 점진적 성장 예상


[시사점]

 

1. 리스크 최소화 + 지속 가능성, 게임 산업의 핵심 전략이 되었다

과거 공격적 확장에서, 현재는 소규모 팀, 효율적인 운영, 라이브 운영 중심 전략

 

✅ 마케팅 관점

- 대형 마케팅보단, 꾸준한 소통 + 피드백 기반 콘텐츠 운영 전략이 핵심

- 런칭 마케팅도 중요하지만, 지속성 기반의 운영형 캠페인에 대한 이해 중요

 

 

2. AI와 자동화 도구 필수지만, 만능은 아니다

도입보다 활용법과 효율화 전략이 관건

 

✅ 마케팅 관점

- 마케터로서, AI에 대한 기초 이해와 활용 방식은 갖춰야 함

- 단순 사용 아닌, '어떤 반복 업무를 줄이고 어떤 분석을 빠르게 할 것인가' 고민 (전략적 활용)

 

 

3. 커뮤니티와 상호작용 중심 구조의 강화

멀티플레이/협동 중심 게임 개발의 증가는

단순 게임 콘텐츠의 확장을 넘어 ‘커뮤니티 기반 마케팅’의 중요성을 시사

 

✅ 마케팅 관점

- 유저간 상호작용을 유도하는 콘텐츠 설계가 마케팅에도 연계됨

- 게임 플레이 자체가 ‘확산 가능한 콘텐츠’가 되도록 전략 설계 필요

- 유저 커뮤니티 기반 바이럴, 플레이 이벤트 설계 등